원가율 30% 유지하는 식자재 관리법
요식업에서 수익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일까요?
바로 **‘원가율’**입니다.
매출이 아무리 높아도, 원가가 과도하게 들어가면 결국 손에 남는 것은 없습니다.
많은 초보 사장님들이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,
“좋은 재료를 쓰면 손님이 알아주겠지”라는 생각으로 식자재 원가율을 40~50%까지 높이는 것입니다.
그러나 현실은 다릅니다.
원가율 30% 이하로 유지하면서도 고객 만족을 이끌어내는 전략이 충분히 가능합니다.
✅ 원가율이란?
원가율 = (식자재 비용 ÷ 메뉴 판매가) × 100
예: 제육덮밥의 식자재 원가가 2,400원, 판매가가 8,000원이라면
→ 원가율은 30%
요식업에서 일반적으로 30% 안팎의 원가율이 이상적이라고 평가받습니다.
이보다 높아지면 인건비, 임대료, 세금, 기타 운영비를 감당할 여유가 없어지기 때문입니다.
✅ 원가율 30% 유지하는 식자재 관리 핵심 전략
1. 메뉴 구성 단계부터 원가를 고려하라
- 수익성이 낮은 메뉴를 과감히 빼고, 고마진 메뉴를 중심으로 재편성
- 부재료 활용도를 높이는 메뉴: 같은 양념, 같은 야채를 다른 메뉴에도 활용
- ‘업그레이드 메뉴’ 전략: 기본 메뉴는 저원가, 토핑/옵션으로 수익 확대
2. 단가보다 ‘사용량’에 집중하라
- 단가는 싸지만 낭비가 많은 재료는 결국 고비용
- 매일 식자재 사용량을 기록하고, 1인분 기준 식자재 배합을 수치화
- 예: “돼지고기 120g / 양파 30g / 고추장 20g” 등 계량화가 핵심
3. 납품 단가 협상은 ‘정기 납품 조건’으로
- 주 3회 이상 정기 납품 조건으로 단가 협상
- 가격 비교 앱 또는 플랫폼 활용 (예: 마켓컬리 비즈니스, 쿠캣비즈)
- 공동구매 형태로 지역 내 업주들과 협업도 고려
4. 불필요한 폐기 줄이기 → 하루 2회 재고 점검
- 아침과 마감 전, 재고 점검 루틴화
- 냉장/냉동고에 있는 재료의 유통기한, 상태 체크
- 특히 신선식품은 회전율 중심으로 구매
5. 매출 비중 높은 메뉴에 원가 집중 관리
- 전체 메뉴 중 **상위 20% 메뉴가 매출의 80%**를 차지
- 인기 메뉴의 원가율을 1~2%만 낮춰도 전체 수익률에 큰 영향
- 주기적으로 TOP 5 메뉴의 원가 점검 → 개선 포인트 도출
✅ 고정비가 높을수록, 원가율은 더 민감하다
월 임대료가 300만 원, 인건비가 500만 원이라면
원가율이 5%만 높아져도 수익 구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.
월 매출 2,000만 원 | 재료비 600만 원 | 재료비 700만 원 |
순이익 (기타 조건 동일) | 약 300만 원 | 약 200만 원 |
단 5% 차이가 순수익 100만 원 이상 차이를 만듭니다.
이것이 바로 식자재 원가율 관리가 **‘수익을 만드는 기술’**이라 불리는 이유입니다.
✅ 마무리: 원가율을 ‘통제’하지 못하면, 장사는 절대 성공할 수 없다
요식업은 숫자 싸움입니다.
맛도 중요하고 서비스도 중요하지만,
원가를 통제하지 못하는 운영은 끝내 수익을 잡지 못합니다.
- 원가율 30% 이하 유지
- 메뉴 단순화와 재료 효율화
- 수치 기반 재고·배합 관리
- 납품 단가 관리 및 폐기 절감
2025.03.01 - [자영업자 요식업 창업] - 자영업자 요식업을 위한 쓰레드 마케팅 전략
자영업자 요식업을 위한 쓰레드 마케팅 전략
요식업 자영업자라면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매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**쓰레드 마케팅(Thread Marketing)**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. 쓰레드 마케팅은 고객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끌어들이고
startups.leena-land.com
이 4가지 전략만 지켜도
식자재 원가율을 통제하고, 수익이 남는 구조를 만들 수 있습니다.
당신의 매장이 오늘도 잘 팔리는데도 왜 통장 잔고는 늘지 않는지,
그 답은 바로 **‘원가율’**에 있습니다.
'자영업자 요식업 창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식당 창업, 지금 해도 괜찮을까 임대료부터 상권 분석 (0) | 2025.04.25 |
---|---|
초보 사장님이 가장 많이 하는 7가지 실수와 해결법 (0) | 2025.04.25 |
정부 청년 창업 지원금 받았다고 끝난 게 아닙니다. 선정 이후 반드시 해야 할 5가지 (0) | 2025.04.25 |
점심 장사만으로 월 1천만 원? 낮 장사 집중 전략의 모든 것 (0) | 2025.04.25 |
지원금 면접 심사 정부·지자체 창업지원금 합격 전략 공개 (0) | 2025.04.25 |